가게놀이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칼럼칼럼

석성숲유치원은 올해도 변함없이 가게놀이를 준비하고 있다.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로 인해서 가게놀이를 하지 못한 연령의 학습결손이 어마어마하게 크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였다. 유아들과 함께 준비하는 수업의 가치는 외부에서 만들어낸 학습지나 강사의 수업이 절대 따라올 수 없다. 봄 학년, 여름 학년, 가을 학년에서 모두 가게놀이를 경험했던 졸업생들과 가게놀이에 참여하지 못한 졸업생들의 수 개념 발달과 수에 대한 관심이 특히 큰 차이가 있었다.

하나의 주제로 오래 활동을 하지만 가게놀이를 즐겁게 하고자 하는 목표의식이 있기 때문에 우리 유아들은 즐겁게 참여하고 준비하게 된다. 가을학년은 가게주인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게도 만들어야 하고, 화폐도 만들어야 한다. 가게놀이 당일에 장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수 개념도 늘려야 한다. 가을학년이 그려서 만든 화폐는 모든 유아들이 참여해서 투표를 한다. 각 단위의 화폐중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화폐가 가게놀이에 사용하는 화폐가 된다. 굳이 번거롭게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은 작은 것 하나하나에 각자의 참여가 있을 때 더 애정을 담아서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을학년이 숲에 가게를 짓고 만들면 여름 학년이 간판을 만들어서 힘을 보탠다. 힘만 보태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만든 간판의 댓가로 화폐를 받아서 가게놀이에 사용할 자산을 만든다. 봄 학년은 가정에서 가지고 온 물건을 팔아서 자산을 만든다. 여름학년은 화단에 있는 애플민트로 차를 만들어서 판다고 열심히 말리고 있다. 모두 각자의 힘을 보태어서 자산을 모으고 가게놀이를 준비한다.

봄 학년, 여름 학년, 가을 학년이 모두 함께 가게놀이를 하는데 각 연령 별로 기대하는 역할과 발달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참여하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발달에 맞추어서 전 보다 진보한 경험을 하게 된다. 스스로 기획하고 준비하고 놀이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만큼 열정과 흥미를 느낄 수 있다. 가게 놀이만큼 긴 시간 흥미롭게 탐구할 수 있는 주제를 많이 발굴하고 싶은데 이보다 재밌고 지속성 있는 주제가 없어서 숙제로 남는다. 이번 가게놀이를 통해서도 유아들이 많은 것을 느끼고 발달하기를 기대한다.

다음의 일화기록은 각 학년 유아들의 이야기이다. 유아들과 교사가 어떤 과정으로 가게놀이를 준비하고 무엇을 유아들이 얻고 있는지 함께 느끼면 좋겠다.

가을 학년이 되어서 화폐를 직접 그리고 투표를 경험하는 과정이다.

가을 솔이: 선생님, 우리가 그린 게 진짜 숲(석성숲유치원의 화폐)에 들어가는 거예요?

가을 교사: 다 같이 그림을 그린 후, 유치원에서 투표를 열 거에요.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받은 그림이 숲에 들어가요.

가을 솔이: 우와, 내 거가 꼭 들어갔으면 좋겠다. (아주 꼼꼼이 최선을 다해 그림을 그린다.)

며칠 후

(가을학년이 그린 모든 화폐를 어떻게 하나로 모을지 이야기 나누는 상황)

가을 철이: 투표를 해요.

가을 교사:: 투표는 언제 하는 것인가요?

가을 홍이: 많은 사람 중에 한 명을 정해야 할 때 그 사람을 뽑는 거예요.

가을 교사: 투표를 할 때 어떤 규칙들을 지켜야 할지 이야기 해보세요.

가을 철이: 남의 걸 보면 안돼요.

가을 솔이: 투표할 때 장난치면 안돼요. 투표할 때 엉망진창이 돼요.

가을 준이: 자신이 원하는 것에 투표해야 해요.

여름학년은 애플민트차를 만들면서 변화를 관찰한다.

과학 활동 시간, 애플민트 건조과정을 관찰하는 상황.

여름 교사 : (새로 딴 애플민트와 기존에 건조해 놓은 애플민트를 보여주며) 두 애플민트를 비교해보세요.

여름 송이 : (건조된 애플민트를 만지며) 이건 바삭바삭해요.

여름 교사 : 두 애플민트의 생김새가 달라진 모습이 있나요?

여름 송이 : 네. 쪼그라들었어요.

봄학년은 화폐계산 놀이를 하면서 수 개념을 경험한다.

수 시간, 1숲을 이용해 5숲을 만들어보는 상황

봄 교사: 1숲이 몇 장 있어야 5숲이 되는지 이야기해보세요.

봄 원이:(손가락 5개를 펼치고) 5개요.

봄 교사: 1숲 다섯 장과 5숲 한 장은 같은 금액인가요?

봄 원이: 네.

봄 교사: 왜 같은 금액인지 이야기해보세요.

봄 원이: 둘 다 다섯이니까요.

여름학년이 가게놀이를 하면서 사회관계 기술과 나눠쓰는 경험을 한다.

여름 교사: 물건을 바꾸어서 쓰면 좋은 이유를 이야기해보세요.

여름 웅이: 계속 같은 거는 재미가 없고 시시해요. 그래서 동화에서도 바꾸어서 썼어요.

여름 교사: 물건을 주고 받을 때 하면 안되는 행동이 있을까요?

여름 웅이: 던지면 안되요

여름 난이: 예쁘게 두 손으로 주어야 해요.

교육학박사 임은정의 2024. 05. 17 교육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