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한 유아가 3년간 놀이성의 발달이 달라져 가는 모습에 대한 연구자료의 일부를 공유하고자 한다. 물론 신체, 사회, 인지적 놀이가 동시에 나타나지만 각 단계별로 꼭 필요하고 중요한 발달이 있다. 아래의 글을 읽으면서 독자마다 느낌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국이는 만 3세에 신체활동과 놀이를 접목하는 관찰기록이 주를 이룬다. 바깥놀이에서계속 움직이며 주위의 자연물이나 사물을 찾아내는 관찰력이 범위를 넓히며 놀이로 이어간다. 신체적 자발성으로 놀이를 주도하는 것이 주로 기록되었다. ‘신체조절을 잘한다. 활동이 많다. 건너뛰기 도약하기, 달리기 등을 잘한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활동을 좋아한다’ 는 놀이성의 신체적 자발성 부분이 만 3세 종국이에게 절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종국: 우리 닭장 또 가요. 토끼도 보고 싶어요.
종국이는 더 활동하기 위해서 동물들에게 다시 가고 싶어 하는 것 같다.
2015.03.19 (목)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 선생님 저기 뭐 있는지 더 올라가 봐요.
종국이는 산으로 더 올라가고 싶어했지만 내려올 때의 체력을 생각해서 정해진 곳 까지만 다녀왔다. 내일은 다른 유아들도 괜찮다면 더 올라가 봐도 좋을 듯 하다.
2015.03.23 (월)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 선생님! 보라색 꽃이 크기가 커졌어요.
종국이는 스스로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꽃의 변화도 관찰하고 있다.
2015.04.17 (금) 담임 교사 관찰기록 일부
종국이의 만 4세 관찰기록은 친구들과 함께 하는 놀이가 증가된다. 놀이성의 관찰요인에서 ‘친구들과 놀이를 이어갈 수 있다. 협동을 잘한다. 타인과 놀이를 시도한다. 놀이공간을 공유한다. 리더십이 있다.’는 사회적 자발성 영역이 만 3세에는 두드러지지 않았는데 점차 사회적 놀이에 대한 일화기록이 늘어난다.
종국: 선생님 지금 우리가 회의하고 있어요.
교사: 무슨 회의인데요?
종국: 우리가 만든 로케트가 부서졌는데 부서진 이유에 대해서 지금 회의를 해야해요. -중략-
종국: 내 생각에는 이걸 저번에 우리가 했던 것 만큼 하고 끝냈어야 하는데, 더 하다가 그래서 무거워져서 부서진 것 같아.
우ㅇ: 그리고 테이프가 약하게 붙어서 그런거 아니야?
종국: 그럴 수도 있겠다.
김ㅇ: 선생님한테 글루건으로 해달라고 하자.
종국: 그럼 먼저 테이프로 붙인 다음에 글루건으로 하면 더 튼튼해지지 않을까?
2016.01.19.(목) 담임교사 관찰기록 일부
종국: 선생님 여기 우리 반 나무 앞에 아무도 못 들어오게 나무를 박고 있어요.
그리고 지효랑 예리는 나무를 구해오는 거고 저는 나무를 박는 역할이에요.
00: 나도 박을래. –생략
역할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사회관계에 집중한다. 그 중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부분과 어려운 부분을 잘 구분하는 메타인지 능력이 발휘된다.
2016.03.18.(금)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 우리 횟수를 정해서 삽을 10번 하고 올라와서 쉬고 이렇게 돌아가면서 하자
유아들과 삽으로 벙커를 만들며, 교사는 유아들에게 어느 정도로 팔지 제시를 해주고 교사가 시범을 보여 주자 유아들이 서로 협동을 하며 과제에 집중하여 활동을 했다
2016.11.30.(수)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이의 관찰기록은 인지적 자발성의 특성이 점차 증가한다. 만 5세의 관찰기록은 대부분 인지적 자발성의 특성인 ‘놀이를 만들어낸다. 문제를 찾아낸다. 놀이에 정해져있지 않은 방법을 만들어낸다. 놀이에서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낸다. 하나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는 특성이 드러나는 기록이었다. 그 동안의 지식과 문제해결능력이 놀이시간에 드러나고 이를 활용한 놀이가 증가한다.
종국: 선생님, 지금 우리가 만들고 있는 것은 예전 북극이에요.
교사: 예전에 북극은 어땠는데요?
종국: 얼음이 많이 있고 얼음 위에 북극곰들이 이렇게 많이 있어요. –생략
자신이 익숙해질 때까지 이어가는 집중, 메타인지를 발휘해서 놀이를 만들어낸다.
2017.01.13(금)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 선생님, 저는 어렵게 전체다 그리는 일기기호 그릴래요. (맑음, 태풍, 7m/s의 일기기호를 그린다.) —생략
2017.06.29.(목) 담임교사 관찰기록
새로운 일에 대한 도전을 즐긴다
종국: 선생님, 저 묶을 수 있어요. (줄넘기 묶으며)이렇게요?
교사: 종국이가, 친구들 알려주면 좋겠다. –중략
친구들에게 직접 알려주는 배려심이 있으며 스스로도 메타인지를 발휘되도록 놀이한다.
2017.09.19.(화) 담임교사 관찰기록
교사: 종국아, 우리 이제 마무리하고 정리할 게요~
시ㅇ: 선생님~ 우리 이제 위에 집만 더 지으면 돼요~ 조금만 더 시간을 주세요. 조금만 더 하고 가요! 다 만들고 가요. — 중략
종국: 맞아 내일 와서 더 만들자~~
2017.11.08.(수) 담임교사 관찰기록
종국: 선생님, 씨를 뿌리고 꼭꼭 물을 주었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꼭꼭 눌러주면 안돼요.
동요의 가사가 틀렸음을 인지하고 고쳐야 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현재의 실제지식과 이전 지식을 정리한다. 문제해결력은 문제의 제기를 기초로 한다.
2017.04.13.(목) 담임교사 관찰기록
교육학박사 임은정의 2018. 12. 06. 교육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