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검사의 학습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00 : 여자는 세 명 남자는 한 명이네?

** : 그런 게 중요한 게 아니잖아.

신학기를 맞이하여 우리 유아들이 이런 저런 검사를 시작했다. 연구를 위한 검사에서는 검사로 인한 학습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검사 자체가 학습 되어서 사후 검사결과가 높아지면 연구의 오류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유아들은 꾸준히 성역할 편견, 자기 조절력, 창의성 등의 검사를 하면서 학습이 되었음을 알게 된다.

가을반 쯤 되면 “예, 다 할 수 있어요. 다요, 모두요”라고 쉽게 대답하고, 스스로 도전을 해야 한다는 것도 안다고 한다. 이렇게라도 습관이 되면 우리 유아들은 누구보다 편견 없고 인문학적 소양을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는 기틀이 될 것이다.

교육학박사 임은정의 2018. 03. 20. 교육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