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봄반의 놀이성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최근 놀이환경이나 현상적 놀이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유아 개인적 놀이 성향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놀이성(Playfulness)이라는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놀이성은 유아의 놀이행동을 유발시키는 성향을 의미한다(Lieberman, 1966, 1977; Barnett,1991 재인용). 즉 얼마나 잘 놀이하는가 하는 것을 가늠할 수 있는 개념이다. Barnett(1991)은 놀이성의 하위요인별 특성을 반영하여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 척도가 놀이성 연구의 근본적인 구조, 역동성, 상관관계와 네트워크를 만들어서 유아의 놀이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데 사용되어 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 관찰 척도는 안정적이고 표준화 되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달라지는 변화를 적절하게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다(Barnett, L. A.,1991). 즉 놀이성은 개인내적으로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생기는 유동적인 성향이다. 놀이성은 불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한 번의 결과로 단정해서는 안된다.

아래의 척도는 Barnett(1991)이 개발한 척도이다. 유아들의 놀이성에 대해서 한 번쯤 점검해 볼만 하다. 다만 이 척도가 놓치는 것이 있다. 자발성을 발휘하는 항목에서 위계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내가 4년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신체적 자발성이 늦어지면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의 발달이 더디거나 결손이 생긴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아니다 전혀

아니다

신체적 자발성 신체를 자기 의지대로 조절할 수 있다

활동이 많다.

건너뛰기 도약하기, 달리기 등을 잘한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활동을 좋아한다

사회적 자발성 친구들과 놀이를 이어갈 수 있다.

협동을 잘한다.

타인과 놀이를 시도한다.

놀이공간을 공유한다.

리더십이 있다.

인지적 자발성 놀이를 만들어낸다.

놀이에 정해져있지 않은 방법을 만들어낸다.

놀이에서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낸다

하나의 활동에 집중하지 못한다**

기쁨과 열정 즐거움을 표현한다.

놀이하는 동안 열정이 있다.

놀이하는 동안 감정을 억제한다**

놀이하는 동안 노래하거나 말을 한다.

유머 친구들과 웃긴 대화하는 것을 좋아한다.

친구들을 기분 좋게 놀린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친구들에게 웃기는 이야기 하기를 좋아한다.

광대 같이 웃기는 행동을 한다.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Cult. 3, 319–336.

봄 반의 일화기록을 통해서 놀이성을 생각해 보았다. 놀이성은 일상생활, 자유놀이, 교사가 준비한 활동 등 어떤 상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놀이성이 생기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발성이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자유놀이 시간에만 집중하여 놀이성을 연구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꺼내는 것이 우선되지 않는 활동들은 자발성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나 성인의 역할을 축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칭찬 받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행동과 부모님이 틀어놓은 영어 테이프는 자발성에 방해가 될지도 모른다. 유아가 정말 궁금해서 물어볼 때, 필요함을 느껴서 알고 싶을 때 충분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놀이성이 높아진다. 정말 머리 아프고 어려운 일 일지도 모르겠다. 유아교육을 전공했다는 교사들 조차도 연구하기 힘드니까 외면하는 것이 현실인데 부모님들은 오죽할까 싶다. 아래의 봄 반 일화기록에서 가장 중요한 놀이성 요소를 찾아보자.

봄반 00이가 선크림을 바르더니 말한다.

00 : 선생님 선크림이 액체라 제 손에서 흘러내릴 거 같아요.

$$ : 내 선크림도 액체인데! 그래서 조금 짜서 발라야 돼. 아니면 더 흘러!

교사와 함께 했던 활동을 기억하고 언젠가 적절하게 응용하게 되는 것이 가장 좋은 놀이이고 학습이며 사고의 확장이다.
00 : 나 이 노래 많이 들었었어요. 내가 좋아하는 노래라서

교사: 그럼 00이가 불러주면 친구들 귀에 쏙쏙 들어오겠다.

00 : 가사는 잘 몰라서 못 불러요. 더 많이 들어봐야겠어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적절히 구분하고 노력하겠다는 계획이 있을 때 놀이성이 일어난다.
양팔 저울로 무게 재어본다.

교사 : 꽃 사과 한 개와 도토리 세 개 중 어느 쪽이 더 무거울까요?

00 : 꽃 사과가 더 커서 꽃 사과가 무거워요.

교사 : 00이가 열매를 저울에 올려보세요.

##: (나무 밑에 있는 복숭아를 가리키며) 어 여기 복숭아가 떨어져있어요. 복숭아가 떨어져있었으니까 복숭아나무 아닐까요?

놀이성을 결정짓는 활동의 특성 중 스스로 추리하고 추측하는 과정을 거쳐보는 것은 사고를 확장할 기회를 준다.

놀이성의 요소에서 더 추가 되어야 하는 중요한 내용은 지식의 활용을 즐기기, 하고자 하는 의지 갖기, 추론해보기 등이다. 이런 것을 허용하고 공감할 수 있는 교사와의 시간이 놀이성을 좌우한다. 놀이성은 미래에 학습과 삶에서 자발성을 가지고 개척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매우 중요하다. 우리 유아들의 놀이성이 지금 조금이라도 부족하다면 유치원과 가정이 모두 노력해서 높여주어야 한다.

교육학박사 임은정의 2018. 09. 13. 교육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