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부모님이 느끼는 우리 유치원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1년간 우리 유치원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상담한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진행했다. 이제 학술지에 게재하기 직전으로 막바지 정리를 하고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직전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학부모님들의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을 연구했었다. 그 연구결과 학부모님의 95%이상이 유아들은 놀이를 해야 하며 숲에서 바깥놀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왜 유치원들의 교육이 바뀌지 못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질적으로 분석을 시작하였다.

이번 연구는 이미 졸업을 한 유아들의 부모님들도 참여하였으며 1년 이상 유치원에 다닌 유아의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 학부모는 모두 우리 유치원을 놀이하는 곳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놀이가 유아들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느끼고 있었다. 유아들이 점점 잘 놀게 되면서 사회관계기술과 모든 영역이 발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대상 학부모들은 놀이를 잘 한다는 것에서 유치원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모님들의 놀이를 보는 관점이 발전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여기는 너무 노는 것 같애. 어렸을 때부터 틀을 잘 잡아줘야지 안 그러면은 커서도 안 된다. 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그랬어요. 아니라고. 여기서 그렇게 놀게 해주고. 마음이 큰 것 같다고, 머리가 큰 것 같아서. 애한테 그 동안 무엇을 한 건가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은 졸업한 학부모님의 상담내용이다. 이 졸업생은 우리 유치원에 좀 늦게 왔었다. 만 4세 2학기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전까지는 별별 곳을 다 보내보고 학습지도 24개월부터 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결과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제야 돌아보게 되었다고 하였다. 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구대상 부모님들을 때때로 흔들리게 하는 것은 외부의 압력(?)이었다. 위의 대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잘 모르는 주위사람이 ‘너무 놀면 안 된다’는 말을 하는데 어떤 근거도 가지고 있지 않은 ‘~~~된대’식의 말들이다. 부모님들이 자녀를 양육할 때 본질이 흔들리지 않는 초심을 지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도 많은 전문가들의 이야기 속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혜안이 중요하다. 선택의 기준이 되어 줄 본질과 원칙이 필요하다. 우리 부모님들은 유아들에게 최선이 무엇인지 행복한 유아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정확한 정보에 기초한 본질을 지키기를 바란다.

교육학박사 임은정의 2016. 11. 26. 교육이야기